부정맥의 질환이 있는지 모르고 지내다가 심정지가 오는 경우가 이 같은 경우다.
갑작스럽게 두근거림이 있다거나, 위 증상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다면 병원을 찾아서 심장 초음파 등 검진을 해보는 것이 심정지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심정지는 기온 차이가 많을 때 취약하다, 바로 요즘 같은 시기가 위험한 시기이다.
기온변화에 갑작스런 혈압상승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질환자나 고령자는 건강하고 젊은 사람에 비해 혈관이 딱딱하고 혈관벽이 두꺼워 혈압이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병력이 있는 사람들은 심근경색, 뇌경색 그리고는 심정지 환자로 발견되게 된다.
실제로 자신의 눈앞에서 쓰러진 사람을 발견하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심정지 환자는 최초목격자의 역할에 따라 생사를 오고 간다.
심정지가 발생하고 4분이 경과 하면 뇌는 비가역적인 손상을 받게 되고, 혈액순환이 중단되기 때문에 심각한 뇌 손상 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 있는 최초 목격자의 손길이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눈 앞에서 쓰러진 사람을 발견한다면, 더 과감해져라! 호흡을 두세 번 크게 쉬고 침착하게 의식과 호흡을 확인한다. 의식과 호흡 구분이 잘되지 않으면, 도움을 요청하라!
바로 119상황실이다! 환자 평가의 어려움이 있을 땐 119로 영상통화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국번 없이 119로 신고하면 각 지역의 상황실로 연락이 가게 된다.
119상황실에는 의사와, 간호사, 전문 구급 자격자들이 상주하여 일을 하고 있으며,
환자에 대한 평가를 함께 할 수 있어 심정지 환자의 소생 골든타임을 지켜 낼 수 있겠다.
심정지는 누구에게나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은 1분 1초를 지연시켜선 안된다. 심정지 발생 후 1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생존율은 97% 이상이지만 4분이 지나면 50% 이하로 크게 떨어지므로 심정지 발생 초기 4분의 대응이 생과 사의 운명을 가르는 중요한 시간이 된다.
심폐소생술은 흉부 압박을 통한 혈액순환을 유지하고, 인공호흡을 통해 뇌와 중요 기관에 산소를 공급하는데, 여기서 인공호흡은 감염의 우려와 일반인들이 하기에는 힘든 술기라 시간이 지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지체되는 시간에 압박을 유지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더 크게 올릴 수 있다.
심폐소생술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자
쓰러진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려 의식을 확인하며, 의식과 호흡이 없는 것을 확인 후 119에 신고 및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주변 사람들에게 지목하여 요청하며. 주변 안전을 확인한 후 환자를 딱딱한 바닥으로 옮겨 가슴 압박을 시작한다.
가슴 압박은 5~6cm 깊이로 100-120번/분의 속도로 실시하며, 구급대원이 오거나, 환자의 의식이 되돌아올 때까지 압박을 멈추면 안된다. 압박하다가 힘이 들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상대방이 내 앞에 무릎 꿇고 앉아 교대해 줄 준비가 끝날 때까지 압박을 계속해서 하여야 하며, 하나! 둘! 셋! 구령에 맞춰 동시에 교대를 하여야 품질 높은 압박이 되겠다.
두손의 기적 심폐소생술, 이젠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심정지 환자에게 현장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응급처치인 심폐소생술에 대해 정확히 배우고 몸으로써 익혀둔다면 갑작스러운 상황에도 내 두 손이 사랑하는 가족과 시민들에게 새 생명을 안겨주는 기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