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기 국회의원, 부산대·제주대 기술지주회사 속 빈 강정 `당기순이익 제로`
- 부산대기술지주회사 지난 3년간 약 33억원 손실 - - 제주대기술지주회사 지난 3년간 특허등록 총 327건 중 단 53건(16%)만 상용화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17년 10월 24일
| | | ↑↑ 김석기 의원 | ⓒ CBN뉴스 - 경주 | [cbn뉴스=이재영 기자] 대학들이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통해 수익창출을 이뤄내 대학재정 건전성 확보에 기여하고, 각종 연구개발(R&D) 성과를 제고하면서 직·간접적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대학기술지주회사’를 설립했지만, 그 성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기술지주회사: 대학 기술이전. 사업화 전담조직으로 대학(산학협력단)의 현금, 현물(기술, 특허 등) 출자를 통해 설립되며, 기술이전 및 ‘자회사 설립·운영’ 등을 통한 영리활동 수행
부산대기술지주회사는 지난 3년간 당기순손실이 약 33억원에 달했고, 제주대기술지주회사도 약 3억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김석기의원(자유한국당, 경주시)이 국정감사를 위해 부산대와 제주대로부터 제출받은 「대학기술지주회사 연도별 매출 및 수익 현황」자료를 통해 드러났다.
지난 3년간 부산대기술지주회사의 매출은 약 1억 9천만원, 제주대기술지주회사는 약 11억원 정도로 국내 최대 규모인 서울대기술지주회사의 2016년 매출액(자회사 포함)이 약 260억원 정도임을 감안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 중국 베이징대는 약 14조
부산대기술지주회사는 2014년 당기순이익 약 –10억 4천만원, 2015년 약 –12억 3천6백만원, 2016년 약 –9억 8천6백만원 등 매년 약 10억원 선에서 손실을 보고 있다.
같은 기간 매출도 2014년 1,100만원, 2015년 200만원으로 처참한 수준이고, 특히 기술이전 수가 2014년에 1건, 2015년에 0건, 2016년에 8건으로 대학기술지주회사의 존재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대기술지주회사도 2014년 약 3억원의 손실을 봤고, 2016년 당기순이익은 단 900만원에 그쳤다.
대학기술지주회사가 자회사 설립과 대학 보유기술 이전 등 기술사업화로 얻은 수익을 각종 연구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시스템 구축을 위해 설립된 회사이지만, 부산대, 제주대처럼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속 빈 강정’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 김석기의원의 설명이다. 또한, 2015년 기준 부산대기술지주회사의 자본금은 약 61억원으로 다른 국립대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서울대의 140억원에 비해선 턱없이 낮고, 제주대기술지주회사의 자본금 또한 17억원 수준으로 이들 회사들이 제대로 된 기술이전 사업을 수행하기엔 기본적인 여건조차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상태라는 문제가 상존한다.
아울러 2015년 기준 부산대대기술지주회사와 제주대기술지주회사의 고용인력은 단 3명으로 기술사업화 전담 인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인력 확충도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학기술지주회사들의 자본금이 적다보니 매우 영세한 상황에서, 대학에서 생성된 특허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평가료만 건당 3,000만원 수준이라 기술지주회사의 수익 구조를 위축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주대기술지주회사는 지난 3년 반 동안 총 327건의 특허등록을 했지만 이 중 단 53건(16%)만 상용화 됐고, 부산대기술지주회사는 같은 기간 총 780건의 상대적으로 많은 특허를 냈지만, 실제 상용화된 건수는 177건(22.7%)에 불과해, 수익 창출의 가장 기본 요소인 기술이전 실적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김석기의원은 “얼마 전에 중소기업벤처부 장관에 낙마한 박성진 후보자도 비판받았던 대표적인 사항 중에 한 가지가 바로 포항공대 기술지주 대표이사 재직 시절 실질적인 수익성과를 올리지 못한 것”이었다며, “대학기술지주회사와 그 자회사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나 대학에 있고, 이 회사들이 유명무실해지면 이는 곧바로 학교의 명예 실추와 함께 투자금액의 손실로 대학재정이 악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학기술지주회사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수익창출과 특허상용화 기술이전에 힘써서 애초의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신경 쓰고, 평소에도 회사운영상태 등을 점검하면서 부실 경영의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17년 10월 24일
- Copyrights ⓒCBN뉴스 - 경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