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통일신라시대 ˝비늘갑옷˝ 출토
- 김유신 장군 고택 재매정지에서 출토 - - 길이 5~10cm, 너비 2~3cm 내외의 철판 700여매로 이루어져 - - 통일신라 시기 갑옷으로 실물자료로는 처음 확인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17년 01월 12일
| | | ↑↑ 유물 노출 후 전경 | ⓒ CBN뉴스 - 경주 | | [이재영 기자]= 김유신 장군의 고택으로 알려진 경주 재매정지에서 통일신라시대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비늘갑옷이 출토됐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갑옷은 삼국시대에 해당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통일신라 시기의 갑옷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청동소찰의 일부를 제외하면 실물자료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주시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최영기)은 경주 재매정지(사적 제246호) 유적의 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때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비늘갑옷을 출토하였다는 사실을 발굴조사보고서를 통해 공개했다.
| | | ↑↑ 찰갑 노출 후 | ⓒ CBN뉴스 - 경주 | | 발굴조사는 유적의 정비계획수립을 위해 2013년~2014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비늘갑옷은 13호 구덩이에서 토기와 기와, 다른 금속유물 등과 함께 녹슨 덩어리 채로 출토됐다.
함께 출토된 철제 자물쇠와 청동장식품, 불상의 광배 파편 등도 완전한 상태가 아닌 점으로 보아 파손되거나 쓸 수 없게 된 귀중품을 땅에 묻어 폐기한 것으로 조사단은 추정하고 있다.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그 동안 유물 보존처리과정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비늘갑옷의 존재를 확인하여 그림과 사진, 엑스레이 사진 등 상세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비늘갑옷은 길이 5~10cm, 너비 2~3cm 내외의 철판 700여 매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구와 목가리개 등의 부속구가 동반되지 않아 몸통부분에 해당되는 갑옷으로 추정된다.
제작 시기는 함께 출토된 유물로 미루어 보아 7세기 이후로 추정되며, 10세기 경을 하한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경주시와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정밀한 고증과 기초연구를 거쳐 복원품을 제작하고 연구와 전시자료는 물론 신라 고취대 복원사업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비늘갑옷(札甲)은 일정한 크기의 철판을 물고기 비늘모양으로 잘라 가죽끈(革紐)으로 결합하여 만든 갑옷의 한 종류이다.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 입력 : 2017년 01월 12일
- Copyrights ⓒCBN뉴스 - 경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